+ 학교 발전계획
영역 | 추진 내용 | ||
---|---|---|---|
준비기(2017) | 발전기(2018-2019) | 다지기(2020) | |
시설 및 환경 | ㆍ수준별 수업실 재정비 ㆍ교과교실제 교실 재배치 ㆍ사물함 및 탈의실 보완 ㆍ기숙사 시설 구축 노력 |
ㆍ교과교실제 교실 재배치 ㆍ동아리실 확보 및 보완 ㆍ수업교실 확보 및 보완 ㆍ기숙사 시설 구축 |
ㆍ교과교실제 교실 재배치 ㆍ수업교실 확보 및 보완 ㆍ기숙사 시설 완비 및 운영 |
교육 자료 | ㆍ교단 선진화 기기 확충 ㆍ실험실습 기자재 확충 ㆍ도서 확충 ㆍ교수ㆍ학습 자료 확충 |
ㆍ실험실습 기자재 확충 ㆍ교단 선진화 기기 확충 ㆍ도서 확충 ㆍ교수ㆍ학습 자료 확충 ㆍ스마트교육자료 확보 |
ㆍ실험실습 기자재 확충 ㆍ교단 선진화 기기 확충 ㆍ도서 확충 ㆍ교수ㆍ학습 자료 확충 ㆍ스마트교육자료 확보 |
교육 활동 | ㆍ토의ㆍ토론 등 학생 참여형 수업 추진 ㆍ다양한 자율ㆍ창체 동아리 신설 추진 및 활동지원 활성화 ㆍ진로교육 활성화 추진 ㆍ독서 논술교육 강화 ㆍ교내ㆍ외 체험활동 및 예술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ㆍ학생 선택형 방과후학교 운영 ㆍ영어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전개 ㆍ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|
ㆍ토의ㆍ토론 등 학생 참여형 수업 활성화 ㆍ다양한 자율ㆍ창체 동아리 활동으로 특기적성 및 진로교육 활성화 ㆍ독서 논술교육을 통한 논리적 사고력 신장 ㆍ교내ㆍ외 체험활동 및 예술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ㆍ학생 선택형 방과후학교 운영 확대 ㆍ영어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강화 ㆍ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|
ㆍ토의ㆍ토론 등 학생 참여형 수업 정착 ㆍ다양한 지율ㆍ창체 동아리 활동으로 특기적성 및 진로교육 강화 ㆍ독서 논술교육을 통한 논리적 사고력 신장 ㆍ교내ㆍ외 체험활동 및 예술문화 활동 통한 창의인성 함양 ㆍ학생 선택형 방과후학교 운영 정착 ㆍ영어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활성화 ㆍ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|
교원역량강화 | ㆍ교무실 및 휴게실 환경개선 ㆍ교과협의회 및 교사자율동아리 지원 ㆍ행복한 I중심수업 활성화를 위한 연수 및 지원 강화 |
ㆍ교무실 및 휴게실 환경보완 ㆍ교과협의회 및 교사자율동아리 보완 ㆍ행복한 I중심수업 활성화를 위한 수업지원단 조직 |
ㆍ교무실 및 휴게실 환경정비 ㆍ교과협의회 및 교사자율동아리 활성화 ㆍ행복한 I중심수업 활성화를 위한 수업지원단 조직 강화 |